EVGA X58 설치 후기...

August 03,2009                      hit:(7416)

결국 10.5.7 업뎃 성공과 이전과 달리 새로운 방법으로 설치성공했습니다.

제가 올렸던 디지털 드리머의 GA-EX58-UD5 리테일 설치 가이드 (http://x86osx.com/bbs/view.php?select_arrange=reg_update&desc=desc&id=osxtips&no=1591)는 더 이상 EVGA X58 메인보드 시리즈에 설치되지 않습니다. 디지털드리머의 설치 가이드가 업뎃 되면서 com.apple.boot.plist가 변했고 이게 Giga EX58 시리즈에 최적화되면서 EVGA에 설치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

EVGA X58 SLI 설치법을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설치팁은 http://www.insanelymac.com/forum/index.php?showtopic=172548 을 참조했습니다.

a. 설치 조건은 역시 2개의 하드를 준비합니다.
b. 카멜레온 2.0 RC
(다운로드 사이트: 인스톨러 페키지를 다운받으세요. x86.hu/articles/chameleon-20rc2-is-available-with-new-features-and-less-bugs target=_blank>http://chameleon.osx86.hu/articles/chameleon-20rc2-is-available-with-new-features-and-less-bugs )
c. EVGA kexts zip (첨부했습니다.)
d. 디지털 드리머 X58_Mobo_patch_installer (다운로드 사이트: target=_blank>http://www.insanelymac.com/forum/index.php?showtopic=149505)


1. 준비된 2개의 하드중 막쓰는 하드에 일단 칼리웨이 10.5.2를 디폴트 베이직으로 설치를 하니다. 커널만 Toh로 선택하시면 됩니다. 다른 해킨설치본으로도 가능하지만 칼리웨이가 가장 쉽게 설치됩니다.
2. 설치된 하드로 부팅후 리테일 OSX와 10.5.7 콤보업뎃을 준비합니다. 데스크톱에 놔두면 됩니다.
3. 최종 설치 대상 메인 하드디스크(이하 타겟 하드)를 GUID 옵션과 OSX journaling으로 포맷합니다. (파티션 나눠도 좋습니다.)
4. 칼리웨이 시스템에서 타겟 하드의 주파티션을 대상으로 파티션 엑티브(활성화)를 시도합니다. 이 작업은 다운받으신 디지털 드리머의 폴더내에 나오는 설치프로그램("Run-Patch-Installer")을 실행시킨후 "타겟 하드를 선택"하시고 3번을 선택, 실행하면 됩니다. (partition active)
5. 리테일 이미지를 마운트하시고 타겟 하드를 대상으로 설치하고 최신버젼의 콤보 업뎃을 같은 타겟 하드에 설치합니다. 아직 리붓할필요없습니다.
6. 이번엔 카멜레온 2.0 RC를 실행시키고 타겟하드를 대상으로 설치합니다.
7. 지금까지 작업한 타겟하드를 오픈 하시면 루트에 EXTRA폴더가 보입니다. EXTRA/Extensions 폴더를 찾아 열어놓습니다.
8. Extensions 폴더에 담겨있는 모든 파일/켁스트를 제거합니다. 비운 상태에서 첨부한 EVGA kexts zip을 푸신후, 모두 선택, Extensions 폴더에 붙여넣기 합니다.

9. 거의 완료단계지만 마지막으로 자신에 맞는 글픽 드라이버를 잡아줘야합니다. 맥(맥프로, 맥북, 아이맥 등)에서 지원되는 글픽 카드 기종이라면 다운받은 디지털드리머 mobo patch 폴더에서 kexts폴더를 여신후 그래픽 폴더를 엽니다. ATY_init.kext를 복사해서 타겟하드 EXTRA/Extensions에 추가해줍니다. 그리고 다시 디지털 드리머 kexts 폴더에서 자신에 맞는 기종의 글픽카드 폴더내에 담겨있는 Natit.kext를 복사해서 타겟하드 S/L/E에 넣어줍니다. (두번째 켁스트파일은 사실 나중에 안전모드로 부팅후 같은 장소에 넣어주고 권한복구 작업해줘도 됩니다. 지금까지 그래픽카드 설치 설명은 ATI기준이었습니다.

10. 이제 다시 디지털 드리머의 Run-Patch-Installer를 실행시키고 7번 DSDT 패치작업을 해줍니다. dsdt.aml 파일이 타겟하드 Extra 폴더에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1. 이번엔 타겟하드의 Extra 폴더에 위치한 com.apple.boot.plist를 수정해야합니다. 이 파일을 데스크톱 스크린으로 복사해놓고 텍스트편집기로 여신후 다음과 같이 편집합니다.
Boot Graphics
Yes
Graphics Mode
1920x1200x32@60
Kernel
mach_kernel
Kernel Flags
busratio=20 -v macmodel=MacPro2,1
Timeout
1
편집이 완료되면 저장후 변경된 com.apple.boot.plist를 다시 EXTRA 폴더에 덮어씌웁니다.

12. 설치가 완료됐습니다. 이제 칼리웨이 시스템을 종료하고 타겟하드를 프라이머리 하드로 바꿔서 리부팅하면 카멜레온 부팅스크린이 나오면서 환영동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주의점:
제 경우 글픽카드가 ATI 3870과 4850 두개입니다.
4850을 위해서 디지털드리머 켁스트/Graphic 폴더내에서 ATY_init.kext를 타겟하드 extra/extensions에 넣었고 4800용 mortmot 패치버젼의 Natit.kext는 먼저 안전모드로 부팅후 s/l/e에 넣고 권한복구해 주었습니다. 처음엔 듀얼 모니터로 제대로 작동했는데 잠시후 마우스버벅임 현상이 나오더니 재부팅과 재부팅을 거듭...윽.윽.윽. 실패!
스트레스 덜 받기 위해 그냥 3870 꼽고 사용중입니다. ㅋ

장점:
디지털 드리머의 가이드를 이용했을때 사운드가 안잡혀서 결국 유에스비 사운드로 대체했었지만 이제는 EVGA 내장 사운드가 잘 나옵니다. 그래서 위안을 삼고 있습니다.

디지털 드리머 가이드와 EVGA 설치가이드 차이점:
디지털 드리머 가이드는 이미 10.5.7의 바닐라 커널을 최적화시켜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더이상 busratio=20 부트플래그를 줄 필요없습니다. 헌데 EVGA X58에선 이것 때문에 설치가 안됐습니다. 위 설치가이드에서 보시듯이 커널은 최신 9.7.0 바닐라 커널로 설치가 됐지만 com.apple.boot.plist 내용을 보시면 여전히 busratio=20가 들어가줘야합니다. 근데 네할름의 성능이 제대로 뽑아주는 것인지 아닌지는 제가 잘 모르겠습니다...ㅋㅋ
메모리가 디디알3 인데 디디알2로 나오는 군여...ㅋ

추가:
오버클럭이 잘 안먹네요! 그냥 메인보드에서 가장 쉽게 세팅할 수 있는 dummy overclock 기능을 이용해서 3.2로 사용중입니다.
램 메모리를 추가해서 6x2GB 6개 뱅크를 모두 채웠는데도 작동 잘합니다. 어디가 써먹을지 모르겠지만...
4850은 차후에 재도전을 하려는데 이 가이드를 완성한 사람이 nvidia 260 두개를 꼽아서 성공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4850을 처분하고 260으로 갈아타는게 좋을거 같다는 생각이 드는군여.ㅋ

comment : (0)

      [Save a Comment]

[Prev]
 LA
 SEOUL
   JP
   Mission Viejo, CA,
   United States
   THE GREEN FUSE (RSS 구독)
   LaymenBlog
   x86osx.com